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는 1994년 설립되어 서울 지하철 5, 6, 7, 8호선을 운영했다. 5호선, 7호선, 8호선 건설을 시작했으며, 2000년 6호선 전 구간을 개통했다. 2008년 자회사 서울도시철도엔지니어링㈜을 설립하고, 2017년 서울메트로와 통합되어 서울특별시 교통공사로 출범하며 해체되었다. 현재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을 운영했으며, 모든 노선은 표준궤, 가공 전차선 방식의 전기 철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교통공사 - 서울메트로
서울메트로는 1981년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로 설립되어 2005년 사명을 변경한 서울특별시의 지하철 운영 기관으로, 서울 지하철 1~4호선과 9호선 일부 구간을 운영하며 서울 대중교통 시스템 발전에 기여했으나 2017년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로 출범했다. - 대한민국의 없어진 철도 기업 - 서울메트로
서울메트로는 1981년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로 설립되어 2005년 사명을 변경한 서울특별시의 지하철 운영 기관으로, 서울 지하철 1~4호선과 9호선 일부 구간을 운영하며 서울 대중교통 시스템 발전에 기여했으나 2017년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로 출범했다. - 대한민국의 없어진 철도 기업 - 의정부경전철 (기업)
의정부경전철 주식회사는 2005년에 설립되어 2012년부터 의정부 경전철을 운영했지만 2017년에 파산했다.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 [회사]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
영문 명칭 | Seoul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 |
약칭 | 서도철 |
회사 정보 | |
종류 | 공기업 |
산업 | 운수업 |
설립일 | 1994년 3월 15일 |
해체일 | 2017년 4월 30일 |
이후 회사 | 서울교통공사 |
본사 위치 | 서울특별시 성동구 천호대로 346 |
직원 수 | 6,742명 (2015년 12월) |
자본금 | 10조 9,023억 9,354만원 (2016년 12월) |
자산 총액 | 5조 9,680억 676만원 (2016년 12월) |
매출액 | 7,220억 1,668만원 (2016년 12월) |
영업 이익 | -2,796억 2,598만원 (2016년 12월) |
당기 순이익 | -2728억 123만원 (2016년 12월) |
주주 | 서울특별시 |
모기업 | 해당 사항 없음 |
자회사 | 서울도시철도엔지니어링(주) 서울도시철도그린환경(주) |
웹사이트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홈페이지 트위터 페이스북 |
기타 정보 | |
대표자 (사장) | 음성직 (2007년 11월 14일) |
주요 사업 | 지하철 건설 및 운영 |
2. 연혁
- 1990년
- * 6월 27일: 5호선 착공.[6]
- * 12월 28일: 7호선 착공.[6]
- * 12월 29일: 8호선 착공.[6]
- 1993년 9월: 6호선 착공.[6]
- 1994년 3월 15일: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설립.[6]
- 1995년 11월 15일: 5호선 강동 구간 (왕십리 - 상일동) 개통.[6]
- 1996년
- * 3월 20일: 5호선 강서 구간 (방화 - 까치산, 마곡역 제외) 개통.[6]
- * 3월 30일: 5호선 송파 (거여, 마천) 구간 (강동 - 마천) 개통.[6]
- * 8월 12일: 5호선 영등포 구간 (까치산 - 여의도) 개통.[6]
- * 10월 11일: 7호선 강북 구간 (장암 - 건대입구) 개통.[6]
- * 11월 23일: 8호선 성남 구간 (잠실 - 모란) 개통.[6]
- * 12월 30일: 5호선 도심 구간 (여의도 - 왕십리) 개통. 5호선 완전 개통.[6]
- 1999년 7월 2일: 8호선 강동 (암사) 구간 (암사 - 잠실) 개통. 8호선 완전 개통.[6]
- 2000년
- * 2월 29일: 7호선 남단 구간 (신풍 - 온수) 개통.[6]
- * 8월 1일: 7호선 강남 구간 (건대입구 - 신풍) 개통. 7호선 완전 개통.[6]
- * 8월 7일: 6호선 상월곡 구간 (상월곡 - 봉화산) 개통.[6]
- * 12월 15일: 6호선 전 구간 (응암 - 상월곡, 4개 역 미개통) 개통.[6]
- 2001년 3월 9일: 6호선 미개통 구간 (이태원 - 약수) 개통. 6호선 완전 개통.[6]
- 2005년 9월 13일: 7호선 부천·인천 연장 구간 (온수 ~ 부평구청) 착공.[6]
- 2008년
- * 6월 20일: 5호선 마곡역 영업 개시.[6]
- * 9월 12일: 자회사 서울도시철도엔지니어링㈜ 설립.[6]
- 2012년 10월 27일: 7호선 부천·인천 연장 구간 (온수 - 부평구청) 개통.[6]
- 2013년
- * 1월: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다국어(영어, 일본어, 중국어) 가이드북 발행.[4]
- * 3월 26일: 자회사 서울도시철도그린환경㈜ 설립.[6]
- 2014년
- * 9월 29일: 5호선 하남선 연장 구간 (상일동 ~ 검단산) 착공.[6]
- * 10월 30일: 7호선 인천 연장 구간 (부평구청 - 석남) 착공.[6]
- 2015년 12월 17일: 8호선 별내선 연장 구간 (별내 - 암사) 착공.[6]
- 2017년 4월 30일: 서울메트로와 통합으로 해체, 서울교통공사 출범.[7]
3. 노선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는 5, 6, 7, 8호선을 운영하였다. 각 노선의 구간은 다음과 같다.
- 서울 지하철 5호선: 방화역 - 상일동역 / 마천역 (단, 오금역은 서울교통공사 관할)
-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역 - 봉화산역 (단, 연신내역은 서울교통공사 관할)
-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역 - 부평구청역
- 서울 지하철 8호선: 암사역 - 모란역
자세한 노선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
색상 | 노선명 | 구간 | 총 연장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8b50a4; width:1em;"| | 5호선 | 본선: 방화역(510) - 강동역(548) - 상일동역(553) | 45.2km |
지선: 강동역(548) - 마천역(P555) | 7.6km | ||
style="background-color:#c55c1d;"| | 6호선 | 응암역(610) → 역촌역(611) → 응암역(610) - 봉화산역(647) | 35.1km |
style="background-color:#54640d;"| | 7호선 | 장암역(709) - 부평구청역(759) | 57.1km |
style="background-color:#f51361;"| | 8호선 | 암사역(810) - 모란역(826) | 17.7km |
보유 노선은 모두 표준궤(궤간 1435mm), 가공 전차선 방식(직류 1500V)에 의한 전기 철도이다. 차량의 규격도 전 노선 공통으로, 20m급 4도어 차량을 사용하고 있다.
3. 1. 건설 중인 구간
8호선 연장 구간은 다음과 같다.4. 보유 차량
- 5000호대 전동차 (5호선)
- 6000호대 전동차 (6호선)
- 7000호대 전동차 (7호선)
- 8000호대 전동차 (8호선)
- SR000호대 전동차 (7호선)
5. 역 시설
5~7호선의 역은 각 승강장에 8량 열차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지만, 8호선은 각 승강장에 6량 열차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대부분의 역에는 2개의 선로가 있지만, 일부 역은 1개 또는 3개의 선로를 가지기도 한다.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운영하는 모든 역의 각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PSD)가 설치되어 있어 자살을 방지하고 터널에서 운행하는 열차로 인해 발생하는 먼지 입자를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준다.[1]
각 역의 승강장에는 열차 위치, 실시간 뉴스, 비상시 비디오 안내 등을 표시하는 대형 LCD 텔레비전 화면이 스크린도어와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패널 양쪽에 2개의 대형 LCD 텔레비전 화면이 설치되어있고, 각 플랫폼에 2개의 평면 패널이 있다. 패널 각 측면에는 현재 시간, 다음 두 열차 도착, 환승 시 문 위치(환승역의 경우) 및 열차 위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하나씩 있다. 다른 화면에는 광고, 날씨 및 뉴스가 표시된다. 텔레비전 화면이 부착되지 않은 일반 패널은 출구, 주변 랜드마크 및 출구 위치, 그리고 열차가 어디로 향하는지에 대한 안내 역할을 한다.[1]
6. 조직
참조
[1]
웹사이트
신임 서울도시철도公 사장에 김태호 차케어스 사장 내정
http://www.asiae.co.[...]
Asiae
2014-08-08
[2]
웹사이트
Transportation: Subway
http://english.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7-08-07
[3]
웹사이트
Seoul Metro operators merge
https://www.railjour[...]
Rail Journal
2017-06-06
[4]
뉴스
Free guide for Seoul's subway riders
http://koreajoongang[...]
2013-01-26
[5]
뉴스
김포도시철도 민간위탁 우선협상 대상자 서울도시철도공사 선정
http://www.gimpo.go.[...]
김포시청
2016-07-01
[6]
뉴스인용
<인터뷰> 서울시 도시철도공사 사장 孫鍾奭씨
https://n.news.naver[...]
1994-02-24
[7]
뉴스인용
서울메트로·도시철도公 이르면 내년 3월 합친다
https://www.chosun.c[...]
2016-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